들어가며
현재 이직을 위해 스터디 및 강의를 많의 수강하고 있다.😇
이 과정에서 배운 내용과 해결한 고민들을 블로그에 정리하고자 한다. 이번 포스팅은 PM/PO 및 기획자라는 직무 개념을 명확하게 정의하는 것으로, 이를 통해 앞으로의 커리어를 구축하는데 기반으로 삼고자 한다.
목차
🔰 왜 우리나라만 기획자라는 명칭을 사용할까?
이미 알 사람들은 다 알겠지만, 기획자는 한국에서만 사용되는 특수한 단어이다. 북미 혹은 영미권에서는 기획자라는 직무 명칭을 사용하지 않고 직무를 Product Manager와 Product Designer 등으로 부르고 있다. 이 때문에 한국에서도 기획자라는 직무에 대한 논란이 주기적으로 대두되기도 한다.
그렇다면 우리나라에서 사용하는 기획자라는 직무는 어디에서 시작되었을까? 네이버 영어사전에서 기획을 검색해보면, plan과 design이라는 영단어를 찾을 수 있다.
Plan: 일정 등을 '계획'한다는 의미 (직무로써의 기획과는 다른 의미)
Desgin: '설계하다.'의 의미 (실질적인 기획과 일맥상통한 의미)
실질적으로 Designer가 서비스 기획자의 업무와 일치하는 단어이나, 한국에서 Designer라고 하면 기획보다는 패션/일러스트 등 비주얼 분야에 치중되어 있어서 '기획자'라는 포괄적인 의미의 단어를 사용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.
🔰 각 직무의 역량에 대한 정의
기획자와 PM/PO의 차이가 모호하기 때문에 많은 강의와 도서에서 분량을 할애하여 이를 설명하고 있다. 이를 종합적으로 정리하면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을 것 같다.
- 기획자
- 제품/서비스 기획 (주로 화면, UX, 정책)
- 디자이너, 개발자에게 ‘어떤 기능인지를’ 커뮤니케이션하는 역량이 중요함
- 산출물: 화면 기획서
- PM
- 화면을 넘어 제품 전체와 사업으로 시각 확장하여 다양한 이해관계자를 관리하는 직무
- 프로젝트가 잘 끝날 수 있게 과정을 매니징하는 역량과 사업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제품의 성장을 이끄는 것이 중요함
- 산출물: 제품 요구사항 문서 (PRD), 전략 로드맵, 비즈니스 모델 기획서
3. PO
- 애자일 환경에서 시작된 직무로, 백로그를 담당하는 직무를 말함
- 백로그를 수집하고,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역할
🔰 실제 공고로 살펴본 직무별 주요업무
원티드에서 찾아본 기획자와 PM 공고에서도 비슷한 업무지만 업무의 중점이 다른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기획자와 PM/PO의 역할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, 기획자는 UX 기반으로 화면 설계를 하는 업무 위주로 담당하고 있으며 반면에 PM/PO는 이해관계자 사이의 요구사항을 조정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. 이러한 차이로 인해 PM/PO는 기획자보다는 제품 차원의 넓은 시야를 요구하며, 제품의 성장을 위한 KPI 설정 등에 관여하는 직무라고 이해하면 좋겠다.
그러나 기획자라고 해서 이해관계자와의 커뮤니케이션 및 매니징 업무가 없다고 단언할 수 있을까? 특히 PM/PO가 존재하지 않는 환경에서는 기획자가 화면 설계를 위한 요구사항 정의 및 관련 이해관계자의 회의를 주재하게 되며, 이 과정에서 다양한 요구사항을 조정하게 된다.
기획자가 이러한 역할을 담당하는 이유를 추측하자면, 기획자는 프로세스의 첫 시작을 담당할 뿐만 아니라 모든 화면과 정책을 정의하는 역할을 담당하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. 서비스 기획이라는 직무의 매력 자체가 업무를 하다보면 자연스레 각 직무별 작업속도를 파악하는 등 타 직무에 비해 넓은 시야를 획득할 수 있는 것이다😇 이런 이유 때문에 별도의 PM/PO나 리드가 없을 경우, 기획자 직무더라도 화면설계를 포함해 PM/PO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마음을 먹는게 좋을 것 같다. 기획자 출신의 PM/PO가 많은 이유도 같은 맥락이지 않을까?
'🤓 기획 스터디' 카테고리의 다른 글
UI, UX, CX의 정의와 차이점 (0) | 2023.11.11 |
---|---|
[강연] 모나미 153 브랜딩을 통해 살펴본 사라지는 브랜드들 사이에서 살아남는 브랜드가 되는 법 (0) | 2023.09.05 |